CS
-
컴퓨터 과학 이진법 - 컴퓨터 세계에서는 0과 1만 존재 - 비트(bit): 0, 1 - byte: 8bit - KB: 1,000byte - MB: 1,000 KB - GB: 1,000MB - TB: 1,000GB 정보의 표현 - 아스키코드: 미국식 영어 기준 - A - 65, Z - 90 - 이모지: RGB 색상과 작은 점으로 구성됨 - 동영상, gif: 여러 장의 사진을 반복해서 보여주는 것 알고리즘 - 분할 정복(Devide and conquer) 1024 -> 512 -> 256 -> ... -> 1 2씩 나누기 - Pick up, Open to, Look at -> Function - If, Else if, Else -> Condition - Go back to line 3 -> Loop 출처 ..
모두를 위한 컴퓨터 과학 - 1. 컴퓨팅 사고컴퓨터 과학 이진법 - 컴퓨터 세계에서는 0과 1만 존재 - 비트(bit): 0, 1 - byte: 8bit - KB: 1,000byte - MB: 1,000 KB - GB: 1,000MB - TB: 1,000GB 정보의 표현 - 아스키코드: 미국식 영어 기준 - A - 65, Z - 90 - 이모지: RGB 색상과 작은 점으로 구성됨 - 동영상, gif: 여러 장의 사진을 반복해서 보여주는 것 알고리즘 - 분할 정복(Devide and conquer) 1024 -> 512 -> 256 -> ... -> 1 2씩 나누기 - Pick up, Open to, Look at -> Function - If, Else if, Else -> Condition - Go back to line 3 -> Loop 출처 ..
2023.09.13 -
- 내 Mac : zshell - 최상위 유저는 #, 일반 유저는 $표시 - 명령어 도움말 --help, -h 구분 명령어 설명 시스템 관련 uname -a - 시스템의 모든 정보 확인 - 시스템 이름, 사용 중인 운영체제와 버전, 호스트명, 하드웨어 정보 등 표시 uname -r - 운영 체제의 배포 버전 출력 cat - 파일 내용 화면에 출력 uptime - 시스템 가동 시간, 현재 사용자 수, 평균 부하량 등 확인 사용자 id - 사용자의 로그인명, id, 그룹 id 등 출력 last - 시스템 부팅부터 현재까지의 모든 사용자의 로그인과 로그아웃에 대한 정보 표시 who - 현재 접속 사용자 정보 표시 파일 처리 ls - 자신이 속한 폴더 내 파일 및 폴더들 표시 pwd - print working..
[shell]리눅스/유닉스 셸 기본 명령어- 내 Mac : zshell - 최상위 유저는 #, 일반 유저는 $표시 - 명령어 도움말 --help, -h 구분 명령어 설명 시스템 관련 uname -a - 시스템의 모든 정보 확인 - 시스템 이름, 사용 중인 운영체제와 버전, 호스트명, 하드웨어 정보 등 표시 uname -r - 운영 체제의 배포 버전 출력 cat - 파일 내용 화면에 출력 uptime - 시스템 가동 시간, 현재 사용자 수, 평균 부하량 등 확인 사용자 id - 사용자의 로그인명, id, 그룹 id 등 출력 last - 시스템 부팅부터 현재까지의 모든 사용자의 로그인과 로그아웃에 대한 정보 표시 who - 현재 접속 사용자 정보 표시 파일 처리 ls - 자신이 속한 폴더 내 파일 및 폴더들 표시 pwd - print working..
2023.06.15 -
웹 기술의 이해 웹은 보통 HTML, CSS, Javascript(JS) 기술을 사용해 제작 웹 브라우저가 코드를 해석해 화면으로 보여줌 - HTML : 문서 기본 틀 만듦 - CSS : 색깔, 위치 등의 기본 틀 꾸미기 - Javascript : HTML, CSS에 동적 효과 줌 클라이언트 - 서버 - 백엔드 - DB - 클라이언트 : 요청하는 입장(Web, AOS, iOS, game…) - 서버 :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응답하는 입장(nginx, apache…) - 백엔드 : Express, Spring, Django… - DB : MySQL, MSSQL 클라이언트, 서버 역할은 유동적 클라이언트 개발자 : 인터페이스 개발 서버 개발자 : 서비스에 필요한 데이터 저장 및 가공 네트워크 기본 지식 - I..
[Web]웹 기술의 이해 + 네트워크 기본 지식웹 기술의 이해 웹은 보통 HTML, CSS, Javascript(JS) 기술을 사용해 제작 웹 브라우저가 코드를 해석해 화면으로 보여줌 - HTML : 문서 기본 틀 만듦 - CSS : 색깔, 위치 등의 기본 틀 꾸미기 - Javascript : HTML, CSS에 동적 효과 줌 클라이언트 - 서버 - 백엔드 - DB - 클라이언트 : 요청하는 입장(Web, AOS, iOS, game…) - 서버 :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응답하는 입장(nginx, apache…) - 백엔드 : Express, Spring, Django… - DB : MySQL, MSSQL 클라이언트, 서버 역할은 유동적 클라이언트 개발자 : 인터페이스 개발 서버 개발자 : 서비스에 필요한 데이터 저장 및 가공 네트워크 기본 지식 - I..
2023.06.08